융은 정신병리 현상을 건강한 사람이 지니는 심리적 속성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분석심리학에서는 정상과 이상 그리고 건강과 장애에 대한 절대적인 구분은 없으며 증상을 확인하여 기술하고 이름을 붙이는 일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사실상 분석심리학에는 정신병리 이론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고통을 겪고 있는 환자 개개인에 대한 이해를 중요시하며 '병적이라고 부르는 현상'에 대한 심리학적 설명이 있을 뿐이다.
분석심리학에 따르면 개인이 병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이유는 자신의 무의식에 대해 무지하기 때문이다. 자신에게 표출되어 올라오는 무의식의 의미를 깨닫지 못하거나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은 마음의 병을 얻게 된다.
1) 신경증
신경증은 그 증상의 의미를 아직 발견하지 못한 마음의 고통이다. 융은 자신의 경험을 통해서 신경증의 증상 뒤에는 그럴 만한 뜻, 즉 증상의 의미가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한다. 신경증 증상은 미래 지향적인 의미를 지니며, 신경증 치료의 핵심은 바로 이러한 증상의 의미를 발견하여 깨닫는 것이다. 신경증은 일종의 자기소외로서 자기(Self)로부터 멀어질수록 증상은 심해진다. 의식의 중심에 있는 자아(Ego)가 자기에게 멀어질수록 신경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우울증은 개인의 자아의식이 지나치게 외적 인격, 즉 페르소나와 동일시하여 내적 인격을 도외시하거나 외면할 때 생겨난다. 융은 우울 증상이 의식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신적 에너지의 고갈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즉 외부에 과도한 관심을 기울이고 에너지를 쏟은 탓에 의식의 에너지가 고갈되어 무의식의 정체된 에너지가 작용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우울해진 사람은 어쩔 수 없이 자신의 시선을 내면으로 돌리게 되어 무의식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그러나 우울증을 겪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이러한 증상의 의미를 인식하지 못한 채 그저 불쾌한 감정에 괴로워하게 된다. 특히 중년기 우울증의 경우, 오랜 세월 동안 자신의 페르소나에만 충실했던 사람들일수록 중년기에 이르러 정신적인 균형이 깨지면서 우울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히스테리, 즉 전환장애는 과도한 외향적 태도를 내향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나타나는 신체 증상을 의미한다. 자아의식의 일방성은 융의 심리적 유형론과도 관련된다. 자아가 자신에게 우월한 기능을 발전시키고 열등한 기능은 돌보지 않으려는 경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자아가 외향적 태도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내향적 태도를 돌보지 않고 억누르면, 이러한 일방성이 무의식의 보상기능을 작동시킨다. 이때 나타나는 히스테리성 신경증의 신체 증상은 외부에 쏠려 있던 자신의 관심을 내부로 돌리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무의식에서는 억압되어 있던 내향성이 드러나게 되는데, 이 때문에 히스테리 환자들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는 심한 자기중심성과 비현실적인 내용의 환상을 나타낸다.
신경쇠약증은 내향적 태도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경우에 생겨난다. 내향적 태도에 지나치게 집착하면, 자신의 의식에만 사로잡혀서 객체 지향적 태도를 억압하게 된다. 그그 결과 겉으로 드러나는 의식의 태도는 내면을 향하고 있지만 무의식의 관심은 신체 지향적으로 점차 바뀌어 가며 객체에 대한 강력한 환상이 생겨난다. 신경쇠약증은 이러한 환상과 의식적 태도의 모순과 갈등으로 인해서 점차 지쳐가게 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2) 정신병
융은 정신분열증을 콤플렉스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융에 따르면, 강력한 복합감정을 지니고 있는 콤플렉스의 활동이 정신분열증의 여러 가지 증상들을 일으킨다. 이러한 콤플렉스는 정상인에게도 존재하기 때문에 정신분열증의 다양한 증상들은 심각도의 연속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흔히 나타내는 알아듣지 못 할 말들이나 기괴한 사고내용은 정상인의 꿈에서 나타나는 것들과 매우 유사하다.
정신분열증의 특징적인 증상인 환각은 꿈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무의식적인 정신적 요소들이 외부 세계로 투사된 것이다. 망상의 내용은 거의 예외 없이 꿈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환자에게는 꿈과 현실의 구분이 사라진다. 융은 환자들의 환청이 때로는 환자의 기괴한 사고와 행동을 수정하도록 하는 정상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말한다. 물론 꿈과 같은 무의식적 내용이 목소리로 들려오는 경우가 더 흔하지만, 가끔 환경은 환자의 과대망상을 비난하고 그 생각을 수정하도록 촉구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융은 비교적 '정상적인' 이러한 목소리는 현재 병적으로 발현되고 있는 콤플렉스에 억눌려 있는 건강한 콤플렉스의 잔재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융은 정신분열증의 원인으로 어느 정도 생물학적인 요인도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정신분열증이 심리적 원인에 의해서만 발생한다고 고집하지는 않았다. 정신분열증이 뇌의 기능장애나 여러 신체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하면서, 그는 자신이 설명하는 것은 장애의 원인이 아니라 증상의 의미라는 점을 밝혔다. 융에게 중요한 것은 장애의 발생 원인이나 기제가 아니라 그러한 증상이 환자에게 무엇을 말해주고 요구하고 있는지를 인식하는 것이었다.
'관심 있는 주제 (IT, 심리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러의 생애와 개인심리학의 발전과정 (0) | 2022.08.12 |
---|---|
분석심리학-치료이론 (0) | 2022.08.11 |
분석심리학-성격의 유형과 발달 (0) | 2022.08.07 |
분석심리학-주요개념 2 (0) | 2022.08.06 |
분석심리학-주요개념 1 (0) | 2022.08.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