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치료기법
아들러의 주요한 공헌 중 하나는 내담자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개입 방법들은 심리 치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 활동과 집단 프로그램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1) 생활 양식 분석
아들러 학파의 심리 치료에서는 내담자의 생활 양식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생활 양식을 분석하는 방법은 매우 구조화된 것부터 덜 구조화된 것까지 다양하다.
Walton(1998)은 내담자의 생활 양식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섯 가지의 물음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가) 다음 문장을 완성하시오. "나는 항상 ~~한 아이였다." (나) 형제와 자매 중에서 당신과 가장 다른 사람은 누구이며 어떻게 다른가? (다) 어린 시절에 당신은 부모님의 어떤 면이 가장 긍정적이라고 생각했는가? (라) 잊을 수 없는 성장과정의 중요한 결심 : "당신이 성장하면서, 인생에 관해 내린 중요한 결론 중에서 가장 기억나는 것은 무엇인가? 예를 들어, 어른이 된다면 나는 반드시 무엇을 할 것이다 또는 나는 결코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도록 할 것이다." (마) 두 가지의 초기 기억 알아내기 : "당신이 기억할 수 있는 가장 어린 시절의 사건은 무엇인가?" "어떤 순간이 가장 생생하게 기억되는가? 그 사건과 관련해서 어떤 느낌을 지니는가?"
좀 더 상세한 생활 양식의 분석을 위해서는 가족 구도, 가족 분위기, 가족 가치, 성 역할 지침, 가족 역할, 초기 발달적 경험들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한다. 아들러 학파의 여러 치료자들은 다양한 생활 유형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해석하는 체계화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가족 구도(Family atconstellation)는 가족 구성원이 가족 내에서 지니는 서열적, 심리적 위치를 의미한다. 가족 구도는 내담자가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가족 구도에 대한 내담자의 평가는 자기, 타인, 그리고 인생에 대한 신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족 분위기(Family atmosphere)는 부모의 부부관계를 비롯한 가족 구성원의 정서적 관계를 반영한다. 가족 분위기에 대한 내담자의 평가는 인간관계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신념은 계속 유지되어 훗날 내담자의 인간관계에 반영될 수 있다. 가족의 분위기를 탐색할 때는 날씨와 관련된 용어들을 사용하기도 한다.
가족 가치(Family valuse)는 부모가 자녀들에게 기대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런 가치는 보통 부모에 의해 공유되고 모든 자녀들에게 전달된다. 자녀들은 이러한 가치들을 중요한 것으로 여기며 이에 따라 행동하게 된다. 대부분의 아이가 가족의 가치를 준수하지만 때로는 이러한 가치를 무시하거나 반항하는 경우도 있다. 가족 가치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서 "부모님이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무엇이었나?" "부모님이 어떤 좌우명을 지니고 있었다면, 그것은 무엇이었나?"와 같은 질문을 사용할 수 있다.
성 역할 지침(Gender guiding lines)은 부모에 의해 공유된 것일 수도 있고 부모 중 한 사람에 의해서 강조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지침들을 통해서 아이들은 진짜 남자 또는 진짜 여자가 어떤 것인지를 습득하게 된다. 이러한 지침들은 성 역할과 관련된 다양한 기대들의 패턴과 원칙을 형성하여 인간관계나 사회적 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아이의 역할(Family role played by each child)은 어린 시절에 가족 내에서 자녀 각자가 어떤 역할을 맡았었는지를 의미한다. Typpo와 Hastings(1984)는 아이의 역할을 책임자, 보호자, 조정자, 실행자, 애완동물, 문제아, 버려진 아이 등으로 제시하였다. Reed(1995)는 알코올 중독자의 자녀들에게 맡겨진 역할을 설명하면서 영웅, 마스코트, 희생양, 망각된 아이라는 네 가지 역할을 제시하였다. 독특한 가족 구도 내에서 아이들이 각자 담당하게 되는 역할이 있는데, 이러한 역할은 마음 깊이 각인되어 성장 후에도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초기의 발달 경험(Early developmental experiences)은 어린 시절에 가족, 친인척, 교사, 친구, 학교생활, 성생활 등과 관련한 발달적 경험을 의미한다. 초기의 발달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내담자가 세상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방식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서 내담자가 자신과 삶에 대해서 지니고 있는 결론이나 신념을 이해할 수 있다. 내담자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친 발달 경험들은 초기 기억의 탐색을 통해서 포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통합된 형태로 내담자의 생활 양식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치료자와 내담자는 이러한 보고서를 함께 읽으며 논의하고 수정해 나간다. 내담자가 자신과 삶에 대해서 어떤 신념을 지니고 있으며 어떠한 목표와 동기를 가지고 행동하는지를 점검한다. 생활양식 분석의 주된 목적은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을 어떤 존재로 인식하고 있으며 어떻게 지금의 자신이 되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무의식적인 목표를 의식의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생활양식은 개인이 지니고 있는 신념과 행동 규칙의 집합체로서 이러한 것들이 좀 더 분명하게 의식되면, 내담자는 부적응적이고 비생산적인 요소들을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관심 있는 주제 (IT, 심리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러 심리학-치료이론 4 (0) | 2022.09.16 |
---|---|
아들러 심리학-치료이론 3 (0) | 2022.09.15 |
아들러 심리학-치료 이론 1 (0) | 2022.09.07 |
아들러 심리학-정신병리 이론 (0) | 2022.09.06 |
아들러 심리학-개인심리학의 주요개념과 성격이론 2 (0) | 2022.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