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격려
격려(Encouragement)는 아들러 학파의 치료자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치료적 개입이다. 단순하게 정의하면, 격려는 다른 사람에게 용기를 북돋워 주는 과정이다. 그러나 격려는 하나의 기술이라기보다 치료자의 기본적인 태도이자 마음자세라고 할 수 있다. 격려는 용기를 내게 하고 지지하는 구체적인 언어적 행위를 넘어선 인간 본성에 대한 기본적 태도이다. 인간은 존재 자체만으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즉 격려는 "네가 잘할 때나 올바르게 할 때 나는 널 좋아한다."는 것이 아니라 "나는 있는 그대로의 너를 좋아한다."는 태도를 반영한다. 가장 근본적인 격려는 단지 당신의 존재 자체에 만족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신의 격려는 개인이 고난과 역경에 처했을 때 그것을 견뎌낼 능력과 의지를 발달시킨다. 격려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이 존중받는 존재라는 인식을 통해 공동체감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자신감과 심리적 강인성을 촉진시키는 핵심적인 치료적 요인이다.
격려를 통해서 내담자는 용기를 얻게 된다. 용기는 앞으로 나아가는 의지이다. 용기는 실패에 초점을 두었을 때가 아니라 수용과 안전함에 대한 지각에서 비롯된다. 용기를 심어주는 것은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능력과 장점을 자각하고 스스로 목표를 설정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방법과 과정을 알아낼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격려는 타인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핵심적 요소이기도 하다. 격려는 전문적인 관계든 사적인 관계든 인간관계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권위, 공포, 처벌과 같은 위협적인 행동은 개인을 책임감 있고 유능한 사람으로 발달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다. 이러한 부정적인 형태의 행동들은 사람을 불안하고 좌절하게 만들 뿐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격려하는 일의 절반은 낙담하게 만드는 일을 피하는 것이다. 비판, 처벌이나 보상과 같은 외적인 통제는 자발적인 행위를 할 수 있는 용기를 훼손하고 좌절을 초래하게 된다. Evans(1996)는 사람을 낙담시키는 다섯 가지 행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1. 높은 기대나 비현실적인 기준 정하기, 2. 실수에 초점 맞추기, 3. 다른 사람과 비교하기, 4. 비관적인 해석 내리기, 5. 과도한 책임감을 지니고 통제적인 행동하기
격려 없이는 내담자로 하여금 부적응적인 행동을 스스로 수정하려는 노력을 유발할 수 없다. 부적응적인 행동을 할수록 더 많은 격려가 필요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그러한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격려를 받기는 어렵다. 대부분의 경우, 노력과 향상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에 사람들은 실수를 지적하며 그가 지닌 힘을 꺾어 놓는다. 격려를 하기 위해서는 외적 통제를 자제하고 실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중지해야 한다. 격려는 곧 칭찬이라고 오해할 수 있는데, 칭찬도 외적인 통제이다. 칭찬은 잘한 일이나 우수한 결과에 초점을 맞춘 조건적인 행위이다. 반면 격려는 결과보다 노력과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약점과 실수를 지적하는 대신에 강점과 잠재 능력에 초점을 맞춘다. 격려를 할 때는 행동과 행위자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적응적인 행동은 근심스러운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그러한 행동을 한 사람에게 부적응자라는 꼬리표를 붙이거나 낙인 찍어서는 안된다. 격려는 내담자가 자신의 강점을 발휘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행동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격려는 내적인 동기에 초점을 맞추어 내담자가 자기 통제력을 발달시키도록 돕는 방법이다.
부적응적인 행동은 대부분 낙담의 결과이며 이질감과 소외감을 느끼게 만들어 공동체감을 저하시킨다. 아들러에 따르면 모든 정신장애의 증상은 낙담의 표현이다. 고통받는 사람을 격려하는 것만이 그가 자신의 증상을 스스로 개선하도록 노력하게 만드는 바탕이 된다.
(3) 마치 ~인 것처럼 행동하기
마치 ~인 것처럼 행동하기는 내담자가 스스로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을 실제로 성취할 수 있는 것처럼 행동해보도록 권장하는 개입 방법이다. 기분이 좋은 것처럼 행동하면 실제로 기분이 좋아질 수 있으며, 자신감 있게 행동함으로써 자신감이 증가할 수 있다. 이처럼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가능한 것처럼 행동함으로써 새로운 인식과 결과를 유발할 수 있다. 예컨대 언어적으로 학대하는 남편에게 위축되어 저항하지 못하는 여성은 마치 남편에게 대항할 수 있는 용기를 지니거나 남편이 계속 모욕할 경우 관계를 청산할 용기를 가진 것처럼 행동해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을 통해서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남편의 언어적 학대 행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내담자의 신념과 문제의식을 변화시키고 통찰을 얻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신념으로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자존심과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변화를 위한 용기를 북돋우며 행동의 목표를 재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4) 수렁 피하기
수렁 피하기는 사람들이 흔히 빠지는 함정과 난처한 상황을 피하도록 돕는 기법이다. 치료자는 내담자의 지속적인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예측하지 못했던 새로운 방식을 제안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레스를 느끼면 혼자 백화점에 가서 돈을 낭비하며 무의미하게 시간을 보내는 내담자의 경우, 이러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권하는 대신 내담자로 하여금 어떻게 하면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친구들을 불러내어 돈을 많이 쓰지 않고 스트레스를 풀 수 있을지를 계획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관심 있는 주제 (IT, 심리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치료 개요 및 발전과정 (0) | 2022.09.19 |
---|---|
아들러 심리학-치료이론 4 (0) | 2022.09.16 |
아들러 심리학-치료이론 2 (0) | 2022.09.09 |
아들러 심리학-치료 이론 1 (0) | 2022.09.07 |
아들러 심리학-정신병리 이론 (0) | 2022.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