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67 분석심리학-정신병리 이론 융은 정신병리 현상을 건강한 사람이 지니는 심리적 속성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분석심리학에서는 정상과 이상 그리고 건강과 장애에 대한 절대적인 구분은 없으며 증상을 확인하여 기술하고 이름을 붙이는 일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사실상 분석심리학에는 정신병리 이론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고통을 겪고 있는 환자 개개인에 대한 이해를 중요시하며 '병적이라고 부르는 현상'에 대한 심리학적 설명이 있을 뿐이다. 분석심리학에 따르면 개인이 병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이유는 자신의 무의식에 대해 무지하기 때문이다. 자신에게 표출되어 올라오는 무의식의 의미를 깨닫지 못하거나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은 마음의 병을 얻게 된다. 1) 신경증 신경증은 그 증상의 의미를 아직 발견하지 못한 마음의 고통이다. 융은 자.. 2022. 8. 7. 분석심리학-성격의 유형과 발달 (1) 성격 유형 융은 개인의 다양한 성격적 특성을 태도와 기능의 차이로 설명하고 있다. 그는 개인이 내면적 세계 또는 외부적 세계에 대해서 관심과 에너지를 투여하는 방향성에 따라 외향성과 내향성의 두 가지 태도로 구분했다. 외향성은 외부 세계에 관심을 지니는 객관적 태도이며, 내향성은 내면세계에 관심을 두는 주관적 태도이다. 두 가지 태도는 서로 배타적으로 번갈아 나타날 수 있지만 의식에 공존할 수는 없다. 개인은 상황에 따라 외향적일 수도 내향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어느 한쪽의 태도가 우세하다. 그러나 그것도 정도의 문제인데, 개인은 전적으로 내향적이거나 외향적인 경우는 없으며 두 태도를 모두 가지고 있다. 또 의식에서는 외향적이라 할지라도 무의식에서는 내향적이어서 구분이 더 모호해지.. 2022. 8. 7. 분석심리학-주요개념 2 (2) 원형의 5가지 유형 원형은 내용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형태만 가지고 있다. 원형을 어떤 유형의 지각과 행동의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을 뿐이다. 원형들은 집단 무의식 내에서 서로 별개의 구조를 이루고 있지만 결합을 하기도 한다. 모든 원형들이 여러 가지로 결합되어 작용하기 때문에 개인의 성격이 각기 판이하게 다른 것이다. 원형은 콤플렉스의 핵심을 이루며 원형이 중심이 되어 관련 있는 경험들을 끌어당겨 콤플렉스를 형성한다. 원형은 무수하게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반면, 그 내용을 이루는 주요한 원형적 심상은 많지 않다. 이러한 심상을 중심으로 경험이 계속 추가되어 충분한 힘을 얻게 되면 콤플렉스는 의식에 침입할 수 있게 된다. 원형이 의식에 떠올라 행동으로 표현되는 경우는 그 원형이 잘 발달한 콤.. 2022. 8. 6. 분석심리학-주요개념 1 1) 분석심리학의 기본가정 융의 분석심리학은 체험에 근거한 심리학 이론이다. 정상인과 정신장애 환자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관찰하고 융 자신의 마음을 깊이 살펴본 경험을 토대로 엮은 이론이다. 분석심리학은 개인적인 경험에 기반을 둔 이론으로서 객관적인 사실이나 절대적인 진리에 관해서 말하고 있지는 않다. 분석심리학에서는 개인의 마음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실과 경험에 초점을 맞출 뿐 그것의 옳고 그름이나 좋고 나쁨을 판단하지 않는다. 융에게 있어서 "관념은 그것이 존재하는 한 심리학적으로 진실이다." 분석심리학은 개인의 주관적 경험에 근거하여 그들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개념과 가설을 제시하고 있다. 융은 다음과 같은 언급을 통해서 자신의 학문적 입장과 삶에 대한 태도를 표현한 바 있.. 2022. 8. 6. 분석심리학 발전과정과 기본가정 융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진로를 고민하던 중 Kraft-Ebing의 책 서문의 "정신병이란 인격의 병이다."라는 글을 보고 마치 하나의 계시를 받은 것처럼 자신이 택해야 할 전공이 정신의학 외에는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융에게 정신의학은 인간의 영적 체험과 생물학적 사실들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공통의 영역이었으며 그때까지 방황했지만 찾지 못했던 분야를 발견한 것 같았다. 그러나 융은 환자를 한 사람의 인간으로 보지 않고 그들의 증상에만 초점을 맞추는 기존의 정신의학에 불만을 느끼며 나름대로의 이론체계를 구축해갔다. 융은 1900년에 취리히의 Burkholz 병원에서 정신분열증 연구의 개척자인 Eugen Bleuler의 차석 조수로 일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만난 한 젊은 여자 환자는 정신분.. 2022. 8. 4. 분석적 심리치료-개요 및 융의 생애와 발전과정 1. 분석적 심리치료의 개요 분석적 심리치료는 칼 구스타프 융에 의해 창시된 정신 역동적 심리치료로서 인간의 심층적인 무의식 세계를 설명하는 분석심리학에 근거하고 있다. 융은 한때 프로이트와 함께 정신분석 운동에 참여했으나 그와 결별하고 독자적인 이론체계와 치료 방법을 발전시켰다. 융에 따르면 인간의 무의식은 충동적인 성적 욕망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개인으로 하여금 진정한 자기를 실현하도록 이끄는 지혜의 보고이다. 인간은 성욕과 같은 본능적 욕구에 의해 끌려가는 존재가 아니라 인간 정신의 통합적 발현, 즉 개성화를 향해 나아가는 존재이다. 인간은 과거의 원인 때문에 행동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목적을 위해서 행동한다. 융의 분석심리학은 매우 심오하고 난해하다. 그는 인간의 마음을 의식, 개인 무의식 그.. 2022. 8. 3. 정신분석 치료-정신분석 치료의 실제 정신분석 치료는 일반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며 내담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변화무쌍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정신분석 치료의 과정은 편의상 초기, 중기, 종결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내담자가 정신분석 치료에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치료약속을 하면서부터 본격적인 치료가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치료가 시작되어 전이 관계가 형성되기까지를 치료의 초기라고 볼 수 있으며 치료 중기는 전이와 저항이 나타나고 훈습이 진행되는 기간을 말한다. 치료 중기는 가장 긴 시간으로서 전이에 대한 통찰이 생기고 이 통찰을 훈습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종결기는 치료의 성과가 나타나면서 치료를 마무리하는 시기이다. 전이가 해소되어 치료자를 현실적인 대상으로 볼 수 있게 되고 무의식적인 갈등이 해결되면 치료과정을 .. 2022. 8. 1. 정신분석 치료-치료 이론 1) 치료의 목표와 원리 정신분석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내담자의 성격 구조를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데 있다. 내담자가 호소하는 증상은 성격의 구조적 갈등에 의해 파생된 것이다. 내담자의 무의식적 갈등을 해결하고 건강한 성격을 함양함으로써 증상은 자연히 해소된다. 정신분석 치료는 증상의 제거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증상을 유발한 무의식적 갈등과 성격적 문제의 해결을 목표로 한다. 대부분의 정신장애는 어린 시절의 좌절 경험에 뿌리를 둔 무의식적 갈등에 의한 것이다. 내담자로 하여금 무의식적 갈등을 자각하여 해결하게 함으로써 정신장애가 치유될 수 있다. 즉 정신분석 치료의 핵심적 원리는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것이다. 의식되지 않는 내면적 세계에 대한 자각을 확대하고 심화하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적 갈등을 의식.. 2022. 8. 1. 이전 1 ···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